글라골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라골 문자는 "말" 또는 "단어"를 의미하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 단어에서 유래한 문자로, 슬라브족 선교를 위해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가 창제했다. 키릴 문자와 거의 일대일로 대응하며, 정교회 세력권에서는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지만, 크로아티아에서는 근대까지 일부 사용되었다. 둥근 형태와 각진 형태의 두 가지 변종이 있으며, 40여 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2005년 유니코드 표준 4.1판에 추가되었다.
글라골 문자의 명칭은 글라골/ⰳⰾⰰⰳⱁⰾⱏcu(''glagolŭ'')이라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말" 또는 "단어"를 의미한다.[2] 이는 '말을 위한 문자'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명칭은 14세기경 크로아티아에서 슬라브어 전례를 옹호하는 과정에서 "말하다"를 뜻하는 ''glagoljati''에서 파생되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8][19]
2. 명칭 및 역사
글라골 문자는 한때 불가리아어 глаголицаbg (''glagolitsa'' 또는 ''glagolica''), 마케도니아어, 러시아어, 크로아티아어와 세르비아어 glagoljicahr (глагољица), 우크라이나어 глаголицяuk (''hlaholytsia''), 벨라루스어 глаголіцаbe (''hlaholitsa''), 체코어 hlaholicecs, 슬로바키아어 hlaholikask, 폴란드어 głagolicapl, 슬로베니아어와 소르브어 glagolicasl 등 다양한 슬라브어권 언어에서 사용되었다.[20][21]
키릴 문자는 키릴로스의 제자들이 글라골 문자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여겨지며, 글라골 문자와 거의 일대일로 대응한다. 글라골 문자는 정교회 세력권에서는 곧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지만, 가톨릭권인 크로아티아에서는 크로아티아어 표기에 근대까지 일부 사용되었다. 크로아티아의 글라골 문자는 각진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연안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15세기 말에는 활판 인쇄도 이루어졌다.
2. 1. 기원
글라골 문자는 862년경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미하일 3세의 명을 받은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가 슬라브족 선교를 위해 창제하였다.[23][24][25][26][27] 테살로니키 출신[24][28]인 이들은 슬라브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자를 고안하였다. 당시 슬라브어 단어들은 그리스어나 라틴어 알파벳으로 쉽게 쓸 수 없었다.[29] 글라골 문자는 그리스 문자를 기반으로 하되, 슬라브어의 독특한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히브리 문자, 사마리아 문자, 콥트 문자 등 다양한 문자의 영향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28]
글라골 문자는 초기에는 둥근 형태였으며, 주로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86] 이후 크로아티아에서는 각진 형태의 글라골 문자가 발전하여 지역 특색을 나타내었다. 15세기 말에는 활판 인쇄도 이루어졌다.
글라골 문자의 자음 수는 원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추정되는 그리스어 모델과 비슷했을 가능성이 있다. 오늘날 알려진 41개의 문자에는 비그리스어 음을 위한 문자와 12세기에 추가된 합자(ligatures)가 포함된다.[28] 후대에 문자 수는 급격히 줄어들어 현대 크로아티아어와 체코어의 교회 슬라브어에는 30개 미만이 사용되었다. 원래 글라골 문자 41개 중 24개는 중세 속기체 그리스 소문자의 글자에서 유래했지만, 장식적인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글라골 문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창제했다는 것이 통설이지만, 4세기에 히에로니무스가 만들었다는 설도 있었다. 이 때문에 글라골 문자는 "히에로니무스 문자"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히에로니무스 기원설은 19세기에 널리 퍼졌으나, 현대에는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53][54][55][56]
글라골 문자의 이름은 고대 교회 슬라브어 단어 "글라골(глаголъ, glagolŭ)"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말"을 의미한다. 글라골 문자는 키릴 문자와 거의 일대일로 대응하며, 정교회에서는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지만, 가톨릭권인 크로아티아에서는 근대까지 일부 사용되었다.
다음은 글라골 문자의 둥근 형태와 그에 대응하는 키릴 문자, 음가, 이름, 기원에 대한 표이다.
문자 | 키릴 문자 | 음 | OCS 이름 | CS 이름 | 의미 | 근원[87] | |
---|---|---|---|---|---|---|---|
Ⰰ | А | Azъ | Az | 나 | 히브리 문자 알레프 (א) 또는 십자 부호 | ||
Ⰱ | Б | Buky | Buky | 글자들 | 불명 | ||
Ⰲ | В | Vědě | Vedi | 앎 | 아마 로마자 V | ||
Ⰳ | ![]() | Г | Glagoli | Glagoli | 움직씨, 낱말 | 아마 흘림체 그리스어 감마 (γ) | |
Ⰴ | ![]() | Д | Dobro | Dobro | 상냥함, 좋음 | 그리스어 델타 (Δ) | |
Ⰵ | ![]() | Є, Е, Э | Estъ, jestъ, yestъ | Jest | 있다 | 아마 사마리타어 ϡ 또는 그리스어 삼피 ϡ | |
Ⰶ | ![]() | Ж | Živěte | Živete | 삶, 살다 | 불명, 아마 콥트 ϫ | |
Ⰷ | ![]() | Ѕ | Dzělo | Dzelo | 초록, 매우 | 불명 | |
Ⰸ | ![]() | З | Zemlja | Zemlja | 땅, 지구 | 아마도 그리스어의 변종 세타 θ | |
Ⰹ, Ⰺ | И, Й | Iže | Iže | 아마도 그리스어 이오타 with dieresis ϊ | |||
Ⰻ | І, Ї | I | I | 불명, 크리스챤 심벌, 원과 삼각형 | |||
Ⰼ | ![]() | Ћ, Ђ | Djervь, ǵervь | 나무 | 불명 | ||
Ⰽ | ![]() | К | Kako | Kako | 어떻게, 어찌 | 히브리어 qoph ק | |
Ⰾ | ![]() | Л | Ljudie | Ljudi | 사람들 | 아마 그리스어 lambda λ | |
Ⰿ | ![]() | М | Myslite | Mislete | 생각 | 그리스 문자 뮤 μ | |
Ⱀ | ![]() | Н | Našь | Naš | 우리(의) | 불명 | |
Ⱁ | ![]() | О | Onъ | On | 그(이) | 불명 | |
Ⱂ | ![]() | П | Pokoi | Pokoj | 나른함 | 초기 그리스어 파이 Π | |
Ⱃ | ![]() | Р | Rьci, rьtsi | Rci | 아마 그리스 문자 로 ρ | ||
Ⱄ | ![]() | С | Slovo | Slovo | 낱말, 말하기 | 불명, 그리스챤 심벌 원과 삼각형 | |
Ⱅ | ![]() | Т | Tvrьdo | Tverdo | 단단함, 굳음 | 그리스어 타우 τ | |
Ⱆ | ![]() | У | Ukъ | Uk | onъ 와 izhitsa 합자 | ||
Ⱇ | ![]() | Ф | Frьtъ | Fert | 그리스 문자의 변종 φ | ||
Ⱈ | ![]() | Х | Xěrъ | Xer | 불명, 유사 glagoli 와 라틴 h | ||
Ⱉ | ![]() | Ѿ | Otъ | Oht, Omega | onъ 와 그 거울 이미지의 합자 | ||
Ⱋ | ![]() | Щ | Šta | Šta | 무엇, 뭐 | 합자 sha의 아래 tvrьdo | |
Ⱌ | ![]() | Ц | Ci, tsi | Ci | 히브리 문자 צ | ||
Ⱍ | ![]() | Ч | Črьvъ | Červ | 지렁이 | 불명, 유사 shta아마도 히브리문자의 중간 형태 tsade ץ | |
Ⱎ | Ш | Ša | Ša | 히브리 0shin ש | |||
Ⱏ | ![]() | Ъ | Erъ, jerъ | Jer | 아마도 개조 onъ | ||
ⰟⰊ | ![]() | Ы | Ery, jery | Jery | 합자 | ||
Ⱐ | ![]() | Ь | Erь, jerь | Jerj | 개조 onъ | ||
Ⱑ | ![]() | Ѣ | Jatь | Jat | 그리스 대문자 alpha Α | ||
Ⱖ | ![]() | Ё | 불명 :Ⱙ를 나타내기 위한 가상의 글자, 당시에는 /jo/ 발음은 불가능 했다. | ||||
Ⱓ | ![]() | Ю | Ju, yu | Ju | 불명 | ||
Ⱔ | ![]() | Ѧ, Я | [Ensь] | Ja, Small jus | 작은 유스 | 그리스 문자 엡실론 ε, 비음을 표현하는데 사용됨 | |
Ⱗ | ![]() | Ѩ | [Jensь, Yensь] | 작은 요붙이유스 | 합자 jestъ 와 ensь 비음표현 | ||
Ⱘ | ![]() | Ѫ | [Onsь] | 큰 유스 | 합자 onъ 와 ensь 비음표현 | ||
Ⱙ | ![]() | Ѭ | [Jonsь, Yonsь] | 큰 요붙이유스 | 합자 불명, 문자와 ensь 비음표현 | ||
Ⱚ | ![]() | Ѳ | [Thita] | Fita | 쎄타 | 그리스어 세타 θ | |
Ⱛ | ![]() | Ѵ | Ižica | Ižica | 불명 |
2. 2. 발전과 쇠퇴
글라골 문자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쓰이던 초기 둥근 형태와 크로아티아어에서 사용된 모난 형태 두 가지 변종으로 발전했다.[86] 9세기 경 대모라비아 왕국에서 슬라브어 전례와 교육에 활용되며 빠르게 확산되었으나, 885년 교황 스테파노 5세가 슬라브어 전례를 금지하면서 탄압받기 시작했다.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제자들은 제1 불가리아 제국으로 피신하여 글라골 문자를 전파하였다.[32][33][34] 보리스 1세는 슬라브어 전례를 장려하며 글라골 문자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고, 프레스라프 문학 학교와 오흐리드 문학 학교는 글라골 문자를 교육하고 보급하는 중심지가 되었다.[32][33][34]
10세기 말, 키릴 문자가 등장하면서 글라골 문자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키릴 문자는 그리스 문자와 유사하여 배우기 쉽고 슬라브어의 음운 변화를 더 잘 반영한다는 장점이 있었다.[39][40] 제1 불가리아 제국이 비잔티움 제국에 함락된 후에는 글라골 문자의 사용이 거의 사라졌지만,[41] 14세기 말까지 불가리아 키릴 문자 사본에 글라골 문자로 쓰인 구절이나 단어가 나타나기도 했다.[42]
크로아티아에서는 글라골 문자가 19세기까지 명맥을 유지하며 지역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아드리아 해 연안 지역에서는 종교 의식과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1248년 인노첸시오 4세는 크로아티아인들에게 글라골 문자를 사용할 수 있는 특별한 권한을 부여하기도 했다.[35] 세뉴의 필립 주교에게 공식적으로 허가된[36] 글라골 문자 예배는 아드리아 해 연안을 따라 크로아티아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크로아티아 반복 침공과 종교 개혁 등의 이유로 16세기에서 17세기에는 이스트리아와 자그레브 대교구에서 글라골 문자가 억압되기도 하였다.[49] 크르크의 공증인들은 19세기 초까지도 글라골 문자를 계속 사용했고,[50] 섬의 시골 교구에서는 19세기까지도 글라골 문자가 교육되었다.[51] 그러나 교육 중심지가 사라지면서 라틴 문자와 이탈리아어가 빠르게 자리 잡았고, 19세기 이후에는 의례적인 목적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52]
2. 3. 크로아티아에서의 글라골 문자
크로아티아에서는 12세기부터 이스트리아 반도, 프리모리예, 크바르네르, 크바르네르 제도(특히 크르크섬, 크레스섬, 로시니섬), 달마티아의 자다르 제도 등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글라골 문자 비문이 나타나기 시작했다.[44] 내륙 리카와 크르바바 지역, 쿠파 강 유역, 심지어 메짐우르예와 슬로베니아까지도 그 범위가 미쳤다. 1992년 슬라보니아의 오를랴바 강 유역 교회들에서 글라골 문자 비문이 발견되면서, 글라골 문자의 사용이 슬라보니아에서도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44]1404년 스플리트에서 제작된 『흐르보예 미사일』은 가장 아름다운 크로아티아 글라골 문자 서적 중 하나로 여겨진다. 1483년에 인쇄된 『글라골 문자 로마 미사일』은 최초로 인쇄된 크로아티아 글라골 문자 서적이다.
오스만 제국의 크로아티아 반복 침공은 15세기와 16세기에 걸쳐 글라골 문자의 생존에 최초의 중대한 존재론적 위협이 되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종교 개혁과 더불어 다른 요인들로 인해 이스트리아와 자그레브 대교구에서 글라골 문자가 억압되었다.[49] 해안 도시와 섬들의 라틴어화는 훨씬 더 오래 걸렸으며, 크르크의 공증인들은 19세기 첫 10년까지도 계속해서 이 문자를 사용했다.[50] 19세기 3/4분기 이후에는 의례적인 목적을 제외하고는 거의 글라골 문자로 쓰여진 것이 없었으며, 곧 몇몇 학자들을 제외하고는 속기체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게 되었다.[52]
3. 글자
글라골 문자는 40여 개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글자는 고유한 이름과 음가를 지닌다. 글자의 형태는 둥근 형태와 각진 형태로 나뉘며,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86] 초기 둥근 형태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쓰였고, 이후 각진 형태는 크로아티아어에서 사용되었다. 문자 대부분의 소리값은 키릴 문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86]
문자 | 키릴 문자 | 음 | OCS 이름 | CS 이름 | 의미 | 근원[87] | |
---|---|---|---|---|---|---|---|
Ⰰ | А | /ɑ/ | Azъ | Az | 나 | 히브리 문자 알레프 (א) 또는 십자 부호 | |
Ⰱ | Б | /b/ | Buky | Buky | 글자들 | 불명 | |
Ⰲ | В | /ʋ/ | Vědě | Vedi | 앎 | 아마 로마자 V | |
Ⰳ | |16px|Glagolu]] | Г | /ɡ/ | Glagoli | Glagoli | 움직씨, 낱말 | 아마 흘림체 그리스어 감마 (γ) |
Ⰴ | |16px|Dobro]] | Д | /d/ | Dobro | Dobro | 상냥함, 좋음 | 그리스어 델타 (Δ) |
Ⰵ | |10px|Jestu]] | Є, Е, Э | /ɛ/ | Estъ, jestъ, yestъ | Jest | 있다 | 아마 사마리타어 ϡ 또는 그리스어 삼피 ϡ |
Ⰶ | |14px|Zhivete]] | Ж | /ʒ/ | Živěte | Živete | 삶, 살다 | 불명, 아마 콥트 ϫ |
Ⰷ | |14px|Dzelo]] | Ѕ | /dz/ | Dzělo | Dzelo | 초록, 매우 | 불명 |
Ⰸ | |14px|Zemlja]] | З | /z/ | Zemlja | Zemlja | 땅, 지구 | 아마도 그리스어의 변종 세타 θ |
Ⰹ, Ⰺ | ![]() ![]() | И, Й | /i, j/ | Iže | Iže | 아마도 그리스어 이오타 with dieresis ϊ | |
Ⰻ | |12px|I]] | І, Ї | /i, j/ | I | I | 불명, 크리스챤 심벌, 원과 삼각형 | |
Ⰼ | |16px|Gjerv]] | Ћ, Ђ | /dʑ/ | Djervь, ǵervь | 나무 | 불명 | |
Ⰽ | |8px|Kako]] | К | /k/ | Kako | Kako | 어떻게, 어찌 | 히브리어 qoph ק |
Ⰾ | |18px|Ljudie]] | Л | /l, ʎ/ | Ljudie | Ljudi | 사람들 | 아마 그리스어 lambda λ |
Ⰿ | |24px|Myslite]] | М | /m/ | Myslite | Mislete | 생각 | 그리스 문자 뮤 μ |
Ⱀ | |10px|Nashi]] | Н | /n, ɲ/ | Našь | Naš | 우리(의) | 불명 |
Ⱁ | |10px|Onu]] | О | /ɔ/ | Onъ | On | 그(이) | 불명 |
Ⱂ | |12px|Pokoi]] | П | /p/ | Pokoi | Pokoj | 나른함 | 초기 그리스어 파이 Π |
Ⱃ | |10px|Rici]] | Р | /r/ | Rьci, rьtsi | Rci | 아마 그리스 문자 로 ρ | |
Ⱄ | |12px|Slovo]] | С | /s/ | Slovo | Slovo | 낱말, 말하기 | 불명, 그리스챤 심벌 원과 삼각형 |
Ⱅ | |18px|Tvrido]] | Т | /t/ | Tvrьdo | Tverdo | 단단함, 굳음 | 그리스어 타우 τ |
Ⱆ | |18px|Uku]] | У | /u/ | Ukъ | Uk | onъ 와 izhitsa 합자 | |
Ⱇ | |12px|Fritu]] | Ф | /f/ | Frьtъ | Fert | 그리스 문자의 변종 φ | |
Ⱈ | |10px|Heru]] | Х | /x/ | Xěrъ | Xer | 불명, 유사 glagoli 와 라틴 h | |
Ⱉ | |14px|Otu]] | Ѿ | /ɔ/ | Otъ | Oht, Omega | onъ 와 그 거울 이미지의 합자 | |
Ⱋ | |14px|Shta]] | Щ | /tʲ, ʃt/ | Šta | Šta | 무엇, 뭐 | 합자 sha의 아래 tvrьdo |
Ⱌ | |14px|Ci]] | Ц | /ts/ | Ci, tsi | Ci | 히브리 문자 צ | |
Ⱍ | |12px|Chrivi]] | Ч | /tɕ/ | Črьvъ | Červ | 지렁이 | 불명, 유사 shta아마도 히브리문자의 중간 형태 tsade ץ |
Ⱎ | |16px|Sha]] | Ш | /ʃ/ | Ša | Ša | 히브리 0shin ש | |
Ⱏ | |14px|Jeru]] | Ъ | /ɯ/ | Erъ, jerъ | Jer | 아마도 개조 onъ | |
ⰟⰊ | |28px|Jery]] | Ы | /ɨ/ | Ery, jery | Jery | 합자 | |
Ⱐ | |14px|Jeri]] | Ь | /ə/ | Erь, jerь | Jerj | 개조 onъ | |
Ⱑ | |14px|Jati]] | Ѣ | /æ, jɑ/ | Jatь | Jat | 그리스 대문자 alpha Α | |
Ⱖ | |15px]] | Ё | */jo/ | 불명 :Ⱙ를 나타내기 위한 가상의 글자, 당시에는 /jo/ 발음은 불가능 했다. | |||
Ⱓ | |14px|Jou]] | Ю | /ju/ | Ju, yu | Ju | 불명 | |
Ⱔ | |14px|Ensu (small jousu)]] | Ѧ, Я | /ɛ̃/ | [Ensь] | Ja, Small jus | 작은 유스 | 그리스 문자 엡실론 ε, 비음을 표현하는데 사용됨 |
Ⱗ | |26px|Jensu (small jousu)]] | Ѩ | /jɛ̃/ | [Jensь, Yensь] | 작은 요붙이유스 | 합자 jestъ 와 ensь 비음표현 | |
Ⱘ | |24px|Onsu (big jousu)]] | Ѫ | /ɔ̃/ | [Onsь] | 큰 유스 | 합자 onъ 와 ensь 비음표현 | |
Ⱙ | |26px|Jonsu (big jousu)]] | Ѭ | /jɔ̃/ | [Jonsь, Yonsь] | 큰 요붙이유스 | 합자 불명, 문자와 ensь 비음표현 | |
Ⱚ | |16px|Thita]] | Ѳ | /θ/ | [Thita] | Fita | 쎄타 | 그리스어 세타 θ |
Ⱛ | |16px|Yzhica]] | Ѵ | /ʏ, i/ | Ižica | Ižica | 불명 |
3. 1. 문자 목록
문자 | 키릴 문자 | 음 | OCS 이름 | CS 이름 | 의미 | 근원[87] | |
---|---|---|---|---|---|---|---|
Ⰰ | А | Azъ | Az | 나 | 히브리 문자 알레프 (א) 또는 십자 부호 | ||
Ⰱ | Б | Buky | Buky | 글자들 | 불명 | ||
Ⰲ | В | Vědě | Vedi | 앎 | 아마 로마자 V | ||
Ⰳ | |16px|Glagolu]] | Г | Glagoli | Glagoli | 움직씨, 낱말 | 아마 흘림체 그리스어 감마 (γ) | |
Ⰴ | |16px|Dobro]] | Д | Dobro | Dobro | 상냥함, 좋음 | 그리스어 델타 (Δ) | |
Ⰵ | |10px|Jestu]] | Є, Е, Э | Estъ, jestъ, yestъ | Jest | 있다 | 아마 사마리타어 ϡ 또는 그리스어 삼피 ϡ | |
Ⰶ | |14px|Zhivete]] | Ж | Živěte | Živete | 삶, 살다 | 불명, 아마 콥트 ϫ | |
Ⰷ | |14px|Dzelo]] | Ѕ | Dzělo | Dzelo | 초록, 매우 | 불명 | |
Ⰸ | |14px|Zemlja]] | З | Zemlja | Zemlja | 땅, 지구 | 아마도 그리스어의 변종 세타 θ | |
Ⰹ, Ⰺ | И, Й | Iže | Iže | 아마도 그리스어 이오타 with dieresis ϊ | |||
Ⰻ | |12px|I]] | І, Ї | I | I | 불명, 크리스챤 심벌, 원과 삼각형 | ||
Ⰼ | |16px|Gjerv]] | Ћ, Ђ | Djervь, ǵervь | 나무 | 불명 | ||
Ⰽ | |8px|Kako]] | К | Kako | Kako | 어떻게, 어찌 | 히브리어 qoph ק | |
Ⰾ | |18px|Ljudie]] | Л | Ljudie | Ljudi | 사람들 | 아마 그리스어 lambda λ | |
Ⰿ | |24px|Myslite]] | М | Myslite | Mislete | 생각 | 그리스 문자 뮤 μ | |
Ⱀ | |10px|Nashi]] | Н | Našь | Naš | 우리(의) | 불명 | |
Ⱁ | |10px|Onu]] | О | Onъ | On | 그(이) | 불명 | |
Ⱂ | |12px|Pokoi]] | П | Pokoi | Pokoj | 나른함 | 초기 그리스어 파이 Π | |
Ⱃ | |10px|Rici]] | Р | Rьci, rьtsi | Rci | 아마 그리스 문자 로 ρ | ||
Ⱄ | |12px|Slovo]] | С | Slovo | Slovo | 낱말, 말하기 | 불명, 그리스챤 심벌 원과 삼각형 | |
Ⱅ | |18px|Tvrido]] | Т | Tvrьdo | Tverdo | 단단함, 굳음 | 그리스어 타우 τ | |
Ⱆ | |18px|Uku]] | У | Ukъ | Uk | onъ 와 izhitsa 합자 | ||
Ⱇ | |12px|Fritu]] | Ф | Frьtъ | Fert | 그리스 문자의 변종 φ | ||
Ⱈ | |10px|Heru]] | Х | Xěrъ | Xer | 불명, 유사 glagoli 와 라틴 h | ||
Ⱉ | |14px|Otu]] | Ѿ | Otъ | Oht, Omega | onъ 와 그 거울 이미지의 합자 | ||
Ⱋ | |14px|Shta]] | Щ | Šta | Šta | 무엇, 뭐 | 합자 sha의 아래 tvrьdo | |
Ⱌ | |14px|Ci]] | Ц | Ci, tsi | Ci | 히브리 문자 צ | ||
Ⱍ | |12px|Chrivi]] | Ч | Črьvъ | Červ | 지렁이 | 불명, 유사 shta아마도 히브리문자의 중간 형태 tsade ץ | |
Ⱎ | |16px|Sha]] | Ш | Ša | Ša | 히브리 0shin ש | ||
Ⱏ | |14px|Jeru]] | Ъ | Erъ, jerъ | Jer | 아마도 개조 onъ | ||
ⰟⰊ | |28px|Jery]] | Ы | Ery, jery | Jery | 합자 | ||
Ⱐ | |14px|Jeri]] | Ь | Erь, jerь | Jerj | 개조 onъ | ||
Ⱑ | |14px|Jati]] | Ѣ | Jatь | Jat | 그리스 대문자 alpha Α | ||
Ⱖ | |15px]] | Ё | 불명 :Ⱙ를 나타내기 위한 가상의 글자, 당시에는 /jo/ 발음은 불가능 했다. | ||||
Ⱓ | |14px|Jou]] | Ю | Ju, yu | Ju | 불명 | ||
Ⱔ | |14px|Ensu (small jousu)]] | Ѧ, Я | [Ensь] | Ja, Small jus | 작은 유스 | 그리스 문자 엡실론 ε, 비음을 표현하는데 사용됨 | |
Ⱗ | |26px|Jensu (small jousu)]] | Ѩ | [Jensь, Yensь] | 작은 요붙이유스 | 합자 jestъ 와 ensь 비음표현 | ||
Ⱘ | |24px|Onsu (big jousu)]] | Ѫ | [Onsь] | 큰 유스 | 합자 onъ 와 ensь 비음표현 | ||
Ⱙ | |26px|Jonsu (big jousu)]] | Ѭ | [Jonsь, Yonsь] | 큰 요붙이유스 | 합자 불명, 문자와 ensь 비음표현 | ||
Ⱚ | |16px|Thita]] | Ѳ | [Thita] | Fita | 쎄타 | 그리스어 세타 θ | |
Ⱛ | |16px|Yzhica]] | Ѵ | Ižica | Ižica | 불명 |
글라골 문자는 키릴 문자의 영향을 받아 음가가 변하거나, 초기 확산 과정에서 혼동되어 원래 음가가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유' Ⱓ는 원래 /u/ 음가를 가졌지만, 키릴 문자 'oѵ'의 영향으로 합자 Ⱆ로 대체되었다.[86] Ⱑ는 Ѣ와 Я에 해당하며, 오래된 사본에도 존재한다.[86]
3. 2. 슬라브어별 명칭
글라골 문자가 사용되었거나 현재 사용되는 슬라브어권 국가에서, 이 문자는 다음과 같이 불린다.- hlaholitsa/глаголіцаbe
- glagolica/глаголицаbg
- glagolica/глаголицаmk
- hlaholicecs
- glagoljicahr / глагољицаsr
- głagolicapl
- glagólitsa/глаголицаru
- glagolicasl
- hlaholikask
- hlaholytsia/глаголицяuk
4. 유니코드
글라골 문자는 2005년 3월 유니코드 표준 4.1판 발표와 함께 추가되었다.[69] 글라골 문자의 유니코드 블록은 U+2C00–U+2C5F이다.[69]
글라골 문자 [https://www.unicode.org/charts/PDF/U2C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 ||||||||||||||||
style="width:45pt"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U+2C0x | Ⰰ | Ⰱ | Ⰲ | Ⰳ | Ⰴ | Ⰵ | Ⰶ | Ⰷ | Ⰸ | Ⰹ | Ⰺ | Ⰻ | Ⰼ | Ⰽ | Ⰾ | Ⰿ |
U+2C1x | Ⱀ | Ⱁ | Ⱂ | Ⱃ | Ⱄ | Ⱅ | Ⱆ | Ⱇ | Ⱈ | Ⱉ | Ⱊ | Ⱋ | Ⱌ | Ⱍ | Ⱎ | Ⱏ |
U+2C2x | Ⱐ | Ⱑ | Ⱒ | Ⱓ | Ⱔ | Ⱕ | Ⱖ | Ⱗ | Ⱘ | Ⱙ | Ⱚ | Ⱛ | Ⱜ | Ⱝ | Ⱞ | Ⱟ |
U+2C3x | ⰰ | ⰱ | ⰲ | ⰳ | ⰴ | ⰵ | ⰶ | ⰷ | ⰸ | ⰹ | ⰺ | ⰻ | ⰼ | ⰽ | ⰾ | ⰿ |
U+2C4x | ⱀ | ⱁ | ⱂ | ⱃ | ⱄ | ⱅ | ⱆ | ⱇ | ⱈ | ⱉ | ⱊ | ⱋ | ⱌ | ⱍ | ⱎ | ⱏ |
U+2C5x | ⱐ | ⱑ | ⱒ | ⱓ | ⱔ | ⱕ | ⱖ | ⱗ | ⱘ | ⱙ | ⱚ | ⱛ | ⱜ | ⱝ | ⱞ | ⱟ |
참고 |
참조
[1]
서적
The Dawn of Slavic: An Introduction to Slavic Philology
Yal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glagolitic
2021-04-21
[3]
서적
Шьствоуѭ нꙑнѣ по слѣдоу оучителю. Сборник в чест на проф. д.ф.н. Анна-Мария Тотоманова
https://www.academia[...]
2021
[4]
학술지
Kulturno-povijesni vidovi glagoljske epigrafike
https://hrcak.srce.h[...]
1981
[5]
서적
The Bible in Slavic Tradition
2000
[6]
학술지
О глагољском натпису из Конавала
https://www.iib.ac.r[...]
2005
[7]
학술지
Кирилски ръкописи с глаголически вписвания (Част пръва)
https://www.academia[...]
Österreich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09
[8]
서적
Fontes historici liturgiae glagolito-romanae a 13 ad 19 saeculum
https://archive.org/[...]
1906
[9]
서적
Uvod u glagoljsku paleografiju
2013
[10]
서적
Hrvatska glagolska knjiga
http://urn.nsk.hr/ur[...]
2015
[11]
서적
Stipan Konzul i "Biblijski zavod" u Urachu
2007
[12]
학술지
Tiskane glagoljske knjige krčkih glagoljaša
https://hrcak.srce.h[...]
1980
[13]
학술지
Profil krčkog glagoljaša u prošlosti
https://hrcak.srce.h[...]
1980
[14]
서적
Borba za glagoljicu
http://urn.nsk.hr/ur[...]
1900–1904
[15]
학술지
Austro-Hungarian Diplomacy and the Campaign for a Slavonic Liturgy in the Catholic Church, 1881-1914
1992
[16]
서적
Molitve za puk što se pivaju preko svete mise po župama Dalmacije: prevedene iz Rimskoga misala: s dozvolom crkovne vlasti
http://urn.nsk.hr/ur[...]
1913
[17]
서적
Rimski misal slověnskim jezikom prěsv. G. N. Urbana papi VIII povelěnjem izdan
https://archive.org/[...]
1927
[18]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4-20
[19]
웹사이트
Hrvatski jezični portal
http://hjp.znanje.hr[...]
2021-04-22
[20]
웹사이트
Slavic languages {{!}} List, Definition, Origin, Map, Tree, History, & Number of Speaker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1-17
[21]
웹사이트
Alphabet - Cyrillic, Glagolitic, Scrip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1-17
[22]
학술지
Najstariji glagoljski natpisi
1971-09-21
[23]
서적
A Reference Grammar of Russi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Writing, Society and Culture in Early Rus, c. 950–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History and Power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서적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1000–15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8]
서적
The Slavic Alphabe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9]
웹사이트
Atlas of Endangered Alphabets: Indigenous and minority writing systems, and the people who are trying to save them.
https://www.endanger[...]
2023-11-16
[30]
서적
Numerical Notation: A Compara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Christian Orthodox Chur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https://books.google[...]
Wiley
2000-05-18
[33]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05-10
[34]
서적
Interaction and Isolation in Late Byzantine Cultur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35]
웹사이트
Crkva u Hrvatskoj
http://www.benedicti[...]
[36]
논문
OTPIS INOCENTA IV. SENJSKOM BISKUPU (1248.) POD PATRONATOM SV. JERONIMA I. Senjski privilegij iz godine 1248
https://hrcak.srce.h[...]
2021-05-24
[37]
웹사이트
Dalmatia
http://www.newadvent[...]
[38]
서적
The A to Z of the Orthodox Churc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
[39]
서적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xford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0]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1]
서적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1000–15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3-05-01
[42]
서적
Късната българска глаголица. Кирило-Методиевски студии
1999
[43]
서적
The Making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4
[44]
뉴스
"Glagoljaška baština u Slavonskom Kobašu"
http://www.sbtv.hr/V[...]
2007-02-25
[45]
논문
Staročeské literární památky a charvátská hranatá hlaholice
https://hrcak.srce.h[...]
2008
[46]
서적
Alma mater Pragensis. Studie k počátkům Univerzity Karlovy.
2016
[47]
논문
Кирилски ръкописи с глаголически вписвания (Част пръва)
https://www.academia[...]
Österreich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09
[48]
논문
Knjiga Оpćena, matica crikvena – stara matična knjiga župe Kučiće-Vinišće, djelo župnika glagoljaša
https://hrcak.srce.h[...]
2010
[49]
서적
Hrvatska glagolska knjiga
https://books.google[...]
Merkur
1915
[50]
서적
Glagoljski rukopisi otoka Krka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1960
[51]
논문
Ekonomsko-socijalno stanje krčkih glagoljaša
https://hrcak.srce.h[...]
1976
[52]
서적
ⰒⰑⰒⰋⰔ ⰃⰎⰀⰃⰑⰎⰌⰔⰍⰋⰘ ⰍⰑⰄⰅⰍⰔⰀ ⰈⰀⰄⰀⰓⰔⰍⰅ ⰐⰀⰄⰁⰋⰔⰍⰖⰒⰋⰌⰅ
2015
[53]
논문
The "Making" of a National Saint: Reflections on the Formation of the Cult of Saint Jerome in the Eastern Adriatic
http://riviste.unimc[...]
2018
[54]
문서
До конца XVIII века господствовало странное, но широк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ное мнение, что глаголическое письмо, бывшее в употреблении в Далмации и Истрии с прилегающими островами и в приморской Хорватии, вместе с переводом священного писания, обязано своим существованием знаменитому отцу церкви св. Иерониму. Зная о нем как авторе латинской «Вульгаты», считая его же как уроженца Далмации славянином, в частности хорватом, домашняя славянская интеллигенция Далмации стала очень рано присваивать ему изобретение глаголицы, быть может, нарочно, с тем умыслом, чтобы успешнее отстаивать и письмо, и богослужение славянское от преследований и запретов со стороны римской иерархии, прикрывая авторитетным именем знаменитого латинского отца церкви свой от греков Кирилла и Мефодия унаследованный обряд. Кем впервые пущено в ход это ни на чем не основанное ученое предание об авторстве св. Иеронима по части глаголического письма и перевода св. писания, мы не знаем, но в 1248 году оно дошло уже до сведения папы Иннокентия IV. <...> Много столетий продолжалась эта вера в Иеронима как изобретателя глаголического письма, не только дома, т. е. в Далмации и Хорватии, не только в Риме, через проживавших там славян... но также и на западе. В Чехию предание занесено в XIV столетии хорватскими монахами-глаголитами, которым поверил даже император Карл IV. (Jagić 1911, pp. 51–52)
1911
[55]
서적
Букварь славенскiй трiазбучный
Venice
1812
[56]
논문
1931
[57]
서적
The Dawn of Slavic: An introduction to Slavic philology
Yale University Press
[58]
논문
Glagolica: An iconic script for visual evangelic preaching
https://www.jstor.or[...]
[59]
논문
On the origin of the Glagolitic alphabet
https://www.academia[...]
January 2013
[60]
서적
Народна Просвета
1987
[61]
논문
Glagolitic script as a manifestation of sacred knowledge
https://www.proquest[...]
Firenze University Press
[62]
서적
Cadmean Letters: The Transmission of the Alphabet to the Aegean and Further West Before 1400 B.C.
Eisenbrauns
1990
[63]
웹사이트
Wiener slawistischer Almanach
https://periodika.di[...]
[64]
논문
"Бывают странные сближенья…": греческий юпсилон и глаголица
https://www.ceeol.co[...]
2012
[65]
논문
Duktus tipaua glagoljskoga pisma
https://hrcak.srce.h[...]
Staroslavenski institut
1999
[66]
서적
Plăcile de plumb de la Sinaia
https://archive.org/[...]
1994-11-13
[67]
서적
B'lgari i H'rvati prez vekovete
2003
[68]
학회발표
The glagolitic alphabet as a text
https://www.academia[...]
Staroslavenski Institut
[69]
웹사이트
Unicode 4.1.0
https://www.unicode.[...]
[70]
웹사이트
Unicode® 9.0 Versioned Charts Index
https://www.unicode.[...]
[71]
서적
An Account of Letters
Preslav
0895
[72]
서적
Slovanské starožitnosti (Slavic antiquities)
[73]
웹사이트
Wiedźmiński alfabet – o czym informują nas plakaty w grze Wiedźmin 3: Dziki Gon?
http://www.gryniezna[...]
2018-08-26
[74]
웹사이트
About Us – Cateia Games
https://www.cateia.c[...]
2020-03-10
[75]
웹사이트
Designs of Croatian national sides of euro and cent coins presented
https://www.croatiaw[...]
2022-02-04
[76]
문서
ⰉⰊ,ⰋとИ,Іの関係は逆とする説もある。
[77]
문서
セルビア語。
[78]
문서
現在は用いられない。
[79]
문서
tverdoの可能性もある。
[80]
문서
ロシア語では[[1917年]]–[[1918年]]から、ブルガリア語では[[1945年]]から使われなくなった。
[81]
문서
仮定とする。
[82]
문서
ブルガリア語では[[1945年]]から使われなくなった。
[83]
문서
ブルガリア語では[[1910年代]]から使われなくなった。
[84]
문서
ロシア語では[[1917年]]–[[1918年]]から使われなくなった。{{Unicode|Ф}}と発音が同じになったため統合。
[85]
문서
ロシア語では公式には[[1870年代]]から使われなくなったが、[[1917年]]-[[1918年]]まで使われていた。
[86]
웹사이트
두 변종의 완전하지 않은 그림, 세부 내용
http://kodeks.uni-ba[...]
[87]
서적
The dawn of Slavic: an introduction to Slavic philology
Yale University Press
2009-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